항산화제(Antioxidants)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9 00:10
본문
Download : 항산화제(Antioxidants).hwp
즉 40℃에서 배양시킨 linoleic acid 혼탁액 50㎕에 8.1% sodium dodecyl sulfate(SDS) 0.2㎖, 20% acetic acid(pH 3.5, 10N NaOH) 1.5㎖, 0.8% TBA 수용액 1.5 ㎖을 넣고, 증류수로 이 혼합액의 total volume을 4㎖로 조절한 다음, 5℃에서 60분간 방치하고, 다시 95℃에서 60분간 발색시킨 뒤, 흐르는 수돗물에서 냉각시켜 사용하여 532nm에서 흡광도를 측정(measurement)하였다.
항산화제(Antioxidants)
순서
(1) 지질자동산화계에서의 항산화능
Linoleic acid 유지 혼탁액은 Osawa 등의 방법28)에 따라 제조하였다.
다.
TBA법에 의한 MDA 정량은 Ohkawa 등의 방법29)에 따라 실시하였다. 이 혼합액을 test tube에 넣고, 40℃ 배양기에서 배양하여 자동산화를 촉진시켰다.항산화제Antioxidants , 항산화제(Antioxidants)자연과학레포트 ,
Download : 항산화제(Antioxidants).hwp( 92 )
항산화제의 종류와 유지의 산패정도를 측정(測定) 하는 방법,화학적 성질들을 요약한 실험식 형식의 글입니다.
,자연과학,레포트
설명
항산화제Antioxidants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레포트/자연과학
항산화제의 종류와 유지의 산패정도를 측정하는 방법,화학적 성질들을 정리한 실험식 형식의 글입니다. 그리고 과산화지질의 함량은 MDA로 표준 검량곡선을 작성한 다음, 이에 의거한 측정(measurement)치를 MDA μM로 표기하였다. linoleic acid 0.13㎖, 99.0% ethanol 10㎖, 50mM phosphate buffer(pH 7.0) 10㎖을 혼합하고, 각 약재 추출물을 농도별로 첨가한 다음, 증류수로 total volume이 25㎖이 되도록 조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