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 물리] 원자로 - 개량형 가스냉각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4 08:44
본문
Download : [방사선 물리] 원자로 - 개량형 가.doc
Download : [방사선 물리] 원자로 - 개량형 가.doc( 35 )
가스냉각로는 1956년 영국에서 세워진 콜더홀발전소에 설치된 9만 2천kW 규모의 원자로다.
방사선 물리,원자로,개량형 가스냉각로,가스냉각로
[방사선 물리] 원자로 - 개량형 가스냉각로
다.
순서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요즘 대한민국에서는 블랙아웃(Black Out)현상과 같은 전기부족문제가 화두 되고 있다.
설명
Table.1.1은 원자로의 구분에 따라 구분해 놓은 표이다. 가스형태의 이산화탄소로 원자로 안에 있는 열을 뽑아내 그 열을 이용해 수증기를 만들기 때문에 ‘흑연 가스 형 원자로’ 또는 ‘흑연 가스로’ 라고도 불린다. 현재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원자로의 종류는 다양하고 핵연료와 냉각재, 감속재로 구분 지을 수 있다. 연료는 천연우라늄을 사용하며 감속재료는 흑연, 냉각재로는 이산화 탄소를 사용한다. 현재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원자로의 종류는 다양하고 핵연료와 냉각재, 감속재로 구분 지을 수 있따
![[방사선 물리] 원자로 - 개량형 가-2208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502/%5B%EB%B0%A9%EC%82%AC%EC%84%A0%20%EB%AC%BC%EB%A6%AC%5D%20%EC%9B%90%EC%9E%90%EB%A1%9C%20-%20%EA%B0%9C%EB%9F%89%ED%98%95%20%EA%B0%80-2208_01.jpg)
![[방사선 물리] 원자로 - 개량형 가-2208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502/%5B%EB%B0%A9%EC%82%AC%EC%84%A0%20%EB%AC%BC%EB%A6%AC%5D%20%EC%9B%90%EC%9E%90%EB%A1%9C%20-%20%EA%B0%9C%EB%9F%89%ED%98%95%20%EA%B0%80-2208_02_.jpg)
![[방사선 물리] 원자로 - 개량형 가-2208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502/%5B%EB%B0%A9%EC%82%AC%EC%84%A0%20%EB%AC%BC%EB%A6%AC%5D%20%EC%9B%90%EC%9E%90%EB%A1%9C%20-%20%EA%B0%9C%EB%9F%89%ED%98%95%20%EA%B0%80-2208_03_.jpg)
![[방사선 물리] 원자로 - 개량형 가-2208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502/%5B%EB%B0%A9%EC%82%AC%EC%84%A0%20%EB%AC%BC%EB%A6%AC%5D%20%EC%9B%90%EC%9E%90%EB%A1%9C%20-%20%EA%B0%9C%EB%9F%89%ED%98%95%20%EA%B0%80-2208_04_.jpg)

개량형 가스냉각로는 마그녹스와 마찬가지로 흑연을 냉각재로 사용한다. 마그녹스 원자로보다 더 높은 열효율을 얻기 위해 열에 더 잘 견디는 스테인리스 스틸 피복재를 사용하며, 이 피복재는 마그녹스 보다 더 많은 중성자를 흡수하며 따라서 농축된 우라늄이 필요하고 효율이 좋다.
요즘 대한민국에서는 블랙아웃(Black Out)현상과 같은 전기부족문제가 화두 되고 있따 그 때문에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원자력발전의 중요성이 떠오르는 고민거리이다. 경수로 등에는 우라늄-235 비율이 3~5%인 연료를 사용한다.(41%. 가압수형 원자로는 34%). 고온가스로는 헬륨을 냉각제, 흑연을 감속재로 사용하는데, 이러한 냉각제, 감속재 조합은 섭씨 700도 이상의 높은 열을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고효율 전력생산 및 수소생산을 가능하도록 한다. 탄소 감속 원자로나 중수 감속 원자로에서도 천연 우라늄을 핵연료로 사용한다. 가스냉각로는 천연우라늄을 사용하는데 이는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우라늄을 말하며 99.3%의 우라늄-238이 48.6%, 0.7%의 우라늄-235이 2.2%, 미량의 우라늄-234가 49.2%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마그녹스에 이은 영국의 2세대 가스냉각 형 원자로다. 마그녹스의 뒤를 이어 개량형 가스냉각로를 개발하게 되었다. 그 때문에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원자력발전의 중요성이 떠오르는 고민거리이다. 가압경수로(PWR)과 비등경수로(BWR), 흑연감속 비등경수로(RBMK)는 저농축우라늄을 사용하는데 이는 우라늄-235비율이20% 이하인 농축 우라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