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전통 문화 이해] 농기구에 관한 쓰임과 이름 / 농기구에 관한(추천) NO.1[똘똘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17:38
본문
Download : [우리전통문화이해] 농기구에 관한 쓰임과 이름.hwp
담배낫은 담배의 귀를 따는 데 사용하는 작은 낫을 말하며, 밀낫은 풀이나 갈대 등을 밀어서 깎는 낫을 말한다. 농경과 더불어 발명된 수확용 농기구이다. 갈대가 많은 제주도에서 많이 사용한다. 뽕낫은 자루가 보통 낫처럼 길지만 날 길이는 짧다. 이 외에 수레는 고구려 벽화에도 나타나지만, 도로 사정에 좋지 못해서 조선 후기까지도 폭넓게 사용 되지는 않았다. 접낫의 날끝은 물음표처럼 오그라들어서 옥낫으로도 부른다.
우리전통 문화 이해 농기구에 관한 쓰임과 이름 농기구에 관한 쓰임과 이름
쓰이는용도 농작물 또는 풀 ·나무를 베는 데 쓰는 ㄱ자 모양으로 생긴 기구.
„. 지게 지게는...
◎ 거두기 나르기
거두는 연장으로 석기시대의 유물인 돌낫은 이삭을 자르는데 쓰였을 것이나, 쇠를 다루기 시작하면서부터 오늘날의 것과 같은 낫이 생신 것 같다. 버들낫은 보통 낫보다 날이 짧으며, 예전에 고리를 만들 때 사용하였다. 칼날의 ‘날[刀]’은 ‘낫’과 어원이 같은 말이다. 낫도 곡식을 배는 낫, 나무를 베는 낫, 억센 풀이나 갈대를 베는 낫 등으로 용도에 따는 차이를 보일 뿐만 아니라 지역에 따라서도 생김새가 약간씩 다르다. 보통 낫으로 남자 한 사람이 하루에 30여 평의 벼를 벨 수 있다
농기구에 관한 쓰임과 이름 ◎ 거두기 나르기 거두는 연장으로 석기시대의 ...
Download : [우리전통문화이해] 농기구에 관한 쓰임과 이름.hwp( 17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 모양은 보통 낫을 닮았으나 날이 크고 자루가 길어서 두손으로 쥐어야 한다. 거둥 곡식을 나르는 연장에는 사람의 힘을 이용하는 것과 짐승의 힘을 이용하는 것이 있다 사람이 지는 지게는 삼한시대부터 쓰인 것으로 보인다.
농기구에 관한 쓰임과 이름 ◎ 거두기 나르기 거두는 연장으로 석기시대의 ...
설명
※ 낫의 여러 가지 종류와 쓰임세
![[우리전통문화이해] 농기구에 관한 쓰임과 이름-1010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0/%5B%EC%9A%B0%EB%A6%AC%EC%A0%84%ED%86%B5%EB%AC%B8%ED%99%94%EC%9D%B4%ED%95%B4%5D%20%EB%86%8D%EA%B8%B0%EA%B5%AC%EC%97%90%20%EA%B4%80%ED%95%9C%20%EC%93%B0%EC%9E%84%EA%B3%BC%20%EC%9D%B4%EB%A6%84-1010_01.gif)
![[우리전통문화이해] 농기구에 관한 쓰임과 이름-1010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0/%5B%EC%9A%B0%EB%A6%AC%EC%A0%84%ED%86%B5%EB%AC%B8%ED%99%94%EC%9D%B4%ED%95%B4%5D%20%EB%86%8D%EA%B8%B0%EA%B5%AC%EC%97%90%20%EA%B4%80%ED%95%9C%20%EC%93%B0%EC%9E%84%EA%B3%BC%20%EC%9D%B4%EB%A6%84-1010_02_.gif)
![[우리전통문화이해] 농기구에 관한 쓰임과 이름-1010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0/%5B%EC%9A%B0%EB%A6%AC%EC%A0%84%ED%86%B5%EB%AC%B8%ED%99%94%EC%9D%B4%ED%95%B4%5D%20%EB%86%8D%EA%B8%B0%EA%B5%AC%EC%97%90%20%EA%B4%80%ED%95%9C%20%EC%93%B0%EC%9E%84%EA%B3%BC%20%EC%9D%B4%EB%A6%84-1010_03_.gif)


농기구에 관한 쓰임과 이름
[우리전통 문화 이해] 농기구에 관한 쓰임과 이름 / 농기구에 관한(추천) NO.1[똘똘이]
순서
낫의 종류는 모양이나 쓰임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눈다. 접낫은 작은 낫이다. 같이 험하거나 없는 곳에서도 쓸 수 있으므로 아직까지 농촌에서 이용되고 있다 많은 양의 짐은 소의 등에 길마를 없고, 여기에 거지게와 옹구, 발채 따위를 메워서 그 위에 실어 운반했다. 밀낫의 형태는 보통 낫과 같으나 등이 날이 되고 자루가 긴 편이다. 벌낫은 벌판의 무성한 갈대 따위를 휘둘러서 베는 도구이다.
ƒ. 낫 낫의 고어는 ‘낟’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