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P] 유가 철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14 06:44
본문
Download : 유가 철학.hwp
이러한 행함은 과학 실험을 통해 새로운 자연의 법칙을 발견하여 사회에 환원하거나, 노동을 통해 백성들에게 풍부한 생산력을 제공하거나, 아니면 스스로 歷史(역사)의 주체가 되어 자신이 살고 있는 불합리한 계층 구조를 변혁시키고자 하는 사람들의 사회적 실천과 분별되는 행함이다. 그들은 이러한 선험적인 도덕 내용이 모든 인간에게 본래부터 갖추어져 있는 것으로 생각하면서, 앎과 행함의 앞뒤 관계를 설정했다.순서
유가 철학
유가 철학
배움
유가 철학
유가 철학
Download : 유가 철학.hwp( 92 )
.
한편 행함은 사전적으로 ‘길’이나 ‘사람이 달려가는 것’의 의미도 포함 하고 있지만, 많은 유학자들에게 이 ‘행함’은 ‘행위’, 특히 ‘도덕적 행위’의 의미로 확대되었다.이철승.「손문철학 중 앎과 행함의 문제」 『동양철학연구회』제28집 2002 5p
.
유가 철학
유가 철학
유가 철학
.
즉 적지 않은 전통 유학자들에게 ‘행함’이란 자기 속에 내재해 있는 선험적인 도덕 내용을 끊임없는 수행을 통해 경건하게 드러내는 행위이다.이철승.「손문철학 중 앎과 행함의 문제」 『동양철학연구회』제28집 2002 4p
. 특히 성리학과 양명학에서는 선천적으로 존재하는 ‘천리’나 인심에 고유한 ‘양지’ 등을 앎의 근거로 설정했다.
배움과 익힘의 concept(개념)





유가 철학 유가 철학 유가 철학 유가 철학 유가 철학 유가 철학 유가 철학
유가 철학
설명
철학에서 앎의 본원적 의미는 대상 파악을 위한 주관의 활동이다.이철승.「손문철학 중 앎과 행함의 문제」 『동양철학연구회』제28집 2002 4p~5P
유가 철학
유가 철학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다. 그러나 歷史(역사)가 진행되면서 이것은 감각 기관을 통해 보고 들으면서 형성되는 감성적인 앎과 사유를 동반하면서 형성되는 이성적인 앎 및 선험적인 도덕적 앎으로 구분되어졌으며, 공맹을 중심으로 하는 선진 유학에서는 이것을 행함과 관계시키면서 대부분 선험적인 도덕 내용으로 상징했다이철승.「손문철학 중 앎과 행함의 문제」 『동양철학연구회』제28집 2002 4p
그들은 대부분 공자가 스스로에게 해당하지 않는 것이라고 말하면서도 그 사상 자체를 부정하지 않은 ‘태어나면서부터 안다’는 사상, 『중용』에서 말하는 ‘성 (天命: 性)’ 맹자가 말하는 ‘양지’등의 사상을 기본적으로 수용한다.이철승.「손문철학 중 앎과 행함의 문제」 『동양철학연구회』제28집 2002 4p
따라서 앎과 행함에 대한 이러한 이해는 앎과 행함의 기원 문제에서 경험으로부터 앎이 스타트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앎을 먼저 존재하는 것으로 여기고, 행함을 앎 이후에 존재하는 것으로 여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