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 GMO의 유익과 해로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16 11:44
본문
Download : GMO의 유익과 해로움.hwp
그렇다면 우선 GMO란 것은 무엇인지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중략)
설명
다들 좋은 점수 받으세요^^
순서
목차
Download : GMO의 유익과 해로움.hwp( 66 )
<서론>
다. 특히나 전 인류의 30%를 차지한다는 동남아시아의 나라들은 그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유전자 조작이란 한 종으로부터 유전자를 얻은후에 이를 다른 다른 종에 삽입하는 기술을 말한다. 현재의 각나라의 식량 자급율 상황을 보면 자급하는 나라가 그리 많지 않다. 그래서 현대 사회에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은 GMO에 대하여 알아야 할 necessity 이 있다. 현대의 농업생산 방식으로는 병충해로 인하여 죽고 자연재해로 인하여 힘없이 죽어가는 농작물을 제외한 것으로 그 많은 인구를 먹여 살린다는 것은 불가능한 이야기처럼 들리고 또 현실적으로도 배고파 죽는 사람들이 수 없이 많다.
<본론>
현대 시대에 들어와서 GMO(유전자조작식품)라는 것이 사회적으로 많은 이슈가 되고 있다.
본론2*GMO해로움---------------4~8
GMO의 유익과 해로움에 대해서 조사 정리 한것입니다. 해충에도 잡초에도 강한 유전자 조작 농작물을 만든다면 병충해나 잡초에 의해서 죽지도 않을 것이어서 생산량을 늘릴 수 있다. 다들 좋은 점수 받으세요^^
GMO가 세계를 먹여 살릴 수 없는 10가지 이유 --8~10
본론1*GMO유익----------------3~4
첫번째로 GMO는 인류의 가장 큰 문제인 식량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새롭게 만들어진 생명체를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즉 유전자 조작 생물체라고 부른다. 그렇다면 이러한 식량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일까? 가장 최선의 방법은 GMO작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GMO의 유익이나 해가 되는 점을 더 자세히 알아보자.





GMO 출처-----------------14
GMO의 유익과 해로움
GMO의 유익과 해로움, GMO의 유익, GMO의 해로움
GMO의 유익과 해로움에 관련되어 조사 정리(arrangement) 한것입니다. 理論이 실제와 다른 경우가 있으며, 이런 현상에 대한 요인은 확실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또 한 예를 들어 벼를 비유하면 벼 한 개에 25개의 알곡 정도 맺혀 있다고 해보면 벼의 유전자를 조작하여 알곡이 100개 정도 열린다고 하고 100개가 되면 너무 무거워서 줄기가 지탱을 못하니까 줄기 유전자를 좀 조작하여서 튼튼하게 버틸 수 있도록 한다면 전체 수확량은 4배가 되는 것이다. 또한 기술적으로도 정확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새로운 유전자가 세포의 DNA속으로 삽입되어 세포 자체의 엉뚱한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 할 수 도 있어서 그 부근 유전자 집단의 조적을 혼란에 빠뜨릴 가능성도 있다. 유전자 조작에 의하여 삽입된 새로운 유전자가 항상 理論대로 그 성질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1953년 세포속의 DNA의 구조가 밝혀지고 1970년대 이후 DNA를 자르는 것이 가능해지면서 이러한 기술도 가능해졌다. 4배라 하는 수확량은 인구를 원래 사람들보다 4배나 더 부양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나라들은 선진국에 비하여 나라넓이에 비하여 인구가 상대적으로 많아서 좁은 땅에서 그 인구를 먹여 살려야 한다. GMO를 알기에 앞서 먼저 유전자 조작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conclusion ----------------------11
서론----------------------3
GMO표시요령과 법률안-----------11~14
[자연과학] GMO의 유익과 해로움
본론----------------------3~10
우리나라에서 많이 유통되는 유전자 조작 식품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GMO의 유익이 되는 것에는 몇 가지 근거가 있다. 유전자조작이 벼나 감자, 옥수수, 콩 등의 농작물에 행해지면 유전자조작 농산물이라 부르고, 이 농산물을 가공하면 유전자조작식품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