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2학기 맞춤법과표준어 기말시험 핵심체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0 04:26
본문
Download : 20122기말_국문2_맞춤법과표준어.pdf
㉢ 특징: 구결자를 약체자로 쓸 수도 있음
제2장 한글 자모
제10강 외래어 표기법과 로마자 표기법
제1장 국어 표기법의 변천 제2장 한글 자모 제3장 한글 맞춤법의 원리 제4장 두음법칙 제5장 모음조화 및 불규칙용언 제6장 사이시옷 제7장 준말 제8장 띄어쓰기 제9장 표준어 및 표준 발음법 제10강 외래어 표기법과 로마자 표기법 - 출제예상문제 (해설포함)
㉢ 문법적 요소: 한자의 음을 빌림(음독, 음차)
제6장 사이시옷
㉡ 초기 이두와 본격적인 이두의 차이점: 초기 이두는 그 한자가 본래 가지도 있는 의미가 유지된 데 비해 본격적인 이두는 한자가 가지고 있는 원래의 의미와는 전혀 상관없는 용법으로 쓰임
방송통신 > 기말시험
(2) 차자표기법
1. 국어표기법의 변천(I)
① 이두
- 한문의 후광
제9장 표준어 및 표준 발음법
㉡ 의미를 가진 부분: 한자의 뜻을 빌림(훈독, 훈차)
Download : 20122기말_국문2_맞춤법과표준어.pdf( 20 )
㉠ 국어의 단어(또는 어구)를 국어의 문장 구조에 따라 같은 뜻을 갖는 한자로 배열하고 조사, 어미 등과 같은 문법형태소를 표기하여 정확한 문맥을 나타냄으로써 보다 정확한 문장의 의미를 타다내기 위한 차자표기
제3장 한글 맞춤법의 원리
제5장 모음조화 및 불규칙용언
맞춤법과표준어,맞춤법과표준어기말,맞춤법과표준어핵심,맞춤법과표준어기출
- 출제예상문제 (해설포함)
㉠ 가장 정제된 표기법으로 신라의 문학작품인 향가를 표기하는데 사용된 차자 표기법임
- 향가문학의 발달에 중요한 원동력이 됨
㉡ 한문 원문을 읽을 때 구절과 구절 사이에 들어가서 문맥을 분명히 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정확한 뜻을 파악하게 할 수 있는 국어의 문법형태들
- 갑오경장까지 한글로 된 문서는 법적인 효력이 없었음
㉣ 구결과 이두의 차이점: 구결은 구결자를 빼고 나면 한문원문이 그래도 복원되지만 이두는 우리말 어순에 따라 순서가 바뀐 것 이어서 문법요소를 빼더라도 원래의 문장으로 복원되지 않음
제7장 준말
제1장 국어 표기법의 변천
제8장 띄어쓰기
㉣ 한자를 차용하여 국어를 표기하려는 노력의 집대성
- 구결이나 이두와는 달리 한문 또는 한자 어구에 의존하지 않고 순수한 국어 문장을 표기함
제1장 국어 표기법의 변천
- 중략 -



③ 향찰
② 처음 한자를 빌려 적을 때는 사람의 이름이나 땅의 이름, 관직의 이름을 적는데 사용함
설명
순서
제4장 두음법칙
(1) 한자차용표기의 개관
㉢ 이두가 오랜기간 사용된 이유
2012년 2학기 맞춤법과표준어 기말시험 핵심체크
- 실용상으로 실제로 행정을 담장했던 아전들과 깊은 관계에 있었음
② 구결
㉠ ‘입겾(입겿)의 차자표기
① 한자의 ‘뜻`과 ’소리‘를 빌려서 우리말을 적는 방법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