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윤리 : 대형사고 사례(instance)를 들어 근본문제와 예방대책에 대해 요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7 02:55
본문
Download : 공학윤리 대형사고 사례를 들어 근본문제와 예방대책에 대해 정리.doc
설명





공학윤리 : 대형사고 사례(instance)를 들어 근본문제와 예방대책에 대해 요점
공학윤리3
공학윤리 리포트로 `대형사고`(대구 지하철 참사)의 근본문제와 예방대책에 대하여 의견을 정리한 자료입니다.
불이 옮겨 붙은 전동차의 기관사가 엉겹결에 차량문을 닫은 채 대피해 객차 안에서 빠져나가지 못하고 숨진 시신 100여 구가 발견됐다. 유용한 내용이 되시길 바라며, 다들 좋은 점수 받으시길 바랍니다. 다시한번 안전불감증의 나라라는 오명을 듣는 참으로 부끄러운일이 아닐 수 없었다. 이와 같은 도시형 위기의 발생은 도시의 생명선을 파괴시켜 버리고 결과적으로 지history회를 공황상태로 몰아갈 만큼의 막대한 사회적 비용과 정신적 피해를 치루게 하는 事例였음을 다시 한번 인식시켜 주었다. 대구지하철사고의 Cause 이 무엇이었고 대책으로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자.
<< 사고의 Cause >>
1) 가연성으로 된 전동차 내장재
- 전동차의 의자는 폴리우레탄, 바닥은 염화비닐, 천정은 FRP, 내부도장은 불에 쉽게 가연성 휘발분을 발생시키는 재료로 되어 있었으며, 폴리우레탄, 바닥은 염화비닐 등의 합성 고분자 물질은 가연성뿐만 아니라 연소시에 인체에 치명적인 각종 유독가스를…(투비컨티뉴드 )
다.
세계 지하철 사고중에서도 2번째로 많은 사망 192명, 부상 147명의 인명의 피해가 있었습니다.’
- 2003년 2월 18일 동아일보
지난 2.18 대구 지하철 방화참사는 도시형 인위재난 발생의 피해와 영향이 얼마나 심각하고 치명적인 것인가를 보여준 대재난이었다. 공학윤리3 , 공학윤리 : 대형사고 사례를 들어 근본문제와 예방대책에 대해 정리공학기술레포트 ,
순서
<< 사고의 Cause >>
1) 가연성으로 된 전동차 내장재
2) 공간의 협소 문제
3) 흡배기 시설의 미비
4) 유도등의 미비
5) 연기의 배출 통로와 대피로의 일치
6) 1080호 열차가 화재가 난 역에 진입
<< 대책 >>
1) 전동차 내장재 교체
2) 안내등의 설치
3) 배연시설의 보강
4) 철로를 통한 대피 절차의 마련
5) 충분한 안전교육
처음 불이 난 전동차보다 마주오다 불이 옮겨 붙은 전동차에서 대부분의 인명피해가 났다. 유용한 내용이 되시길 바라며, 다들 좋은 점수 받으시길 바랍니다.레포트/공학기술
Download : 공학윤리 대형사고 사례를 들어 근본문제와 예방대책에 대해 정리.doc( 47 )
,공학기술,레포트
공학윤리 리포트로 `대형사고`(대구 지하철 참사)의 근본문제와 예방대책에 대하여 opinion을 요점한 資料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