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영(Knowledge Management)과 e-Learning의 통합대책 모색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03 17:59
본문
Download : 지식경영KnowledgeManagement과eLearning의통합방안모색.hwp
I. 문제의식의 출발: 디지털과 지식의 잘 못된 만남?…(省略)
I. 문제의식의 출발: 디지털과 지식의 잘 못된 만남?, , II. 통합이전: 객체들의 반란이전, 1. 지식경영의 본질과 지식경영에 대한 오해, 2. 디지털 시대의 도래와 eLearning의 부각, , III. 통합: 객체들의 반란 스타트과 그 한계-지식경영과 eLearning의 통합대책과 한계, 1. 학습객체 관념의 부각과 통합론 대두, 2. 지식경영과 eLearning의 통합원리와 전술, 3. 통합의 한계와 학습주체의 주도적인 학습활동의 중요성, , IV. 통합 이후: 객체들의 반란이 남긴 흔적과 비판적 문제제기, 1. 학습객체의 구조화, 관계화: 지식객체의 전체화, 주체화 문제, 2. '지식의 정보화'와 '정보의 지식화': , 학습객체의 의미화, 맥락화의 문제, 3. 프랙티스의 프로세스화: 프로세스를 통한 명시지의 창출 , 및 공유와 프랙티스를 통한 암묵지의 창출 및 공유, 자료(data)크기 : 416K
설명
순서
I. 문제의식의 출발: 디지털과 지식의 잘 못된 만남?, , II. 통합이전: 객체들의 반란이전, 1. 지식경영의 본질과 지식경영에 대한 오해, 2. 디지털 시대의 도래와 eLearning의 부각, , III. 통합: 객체들의 반란 시작과 그 한계-지식경영과 eLearning의 통합방안과 한계, 1. 학습객체 개념의 부각과 통합론 대두, 2. 지식경영과 eLearning의 통합원리와 전략, 3. 통합의 한계와 학습주체의 주도적인 학습활동의 중요성, , IV. 통합 이후: 객체들의 반란이 남긴 흔적과 비판적 문제제기, 1. 학습객체의 구조화, 관계화: 지식객체의 전체화, 주체화 문제, 2. '지식의 정보화'와 '정보의 지식화': , 학습객체의 의미화, 맥락화의 문제, 3. 프랙티스의 프로세스화: 프로세스를 통한 명시지의 창출 , 및 공유와 프랙티스를 통한 암묵지의 창출 및 공유, FileSize : 416K , 지식경영(Knowledge Management)과 e-Learning의 통합방안 모색경영경제논문 , 지식경영 KM KMS eLearning






지식경영,KM,KMS,eLearning,경영경제,논문
지식경영(Knowledge Management)과 e-Learning의 통합대책 모색
논문/경영경제
Download : 지식경영KnowledgeManagement과eLearning의통합방안모색.hwp( 87 )
다. 구체적으로 지식경영의 본질과 이에 대한 오해를 지식의 본질적 속성에 비추어 이해하고, 학습과 지식의 본질에 비추어 eLearning의 본질과 정체, 그리고 그 이상과 한계를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지식경영과 eLearning의 통합노력이 남긴 흔적을 교육工學(공학) 분야의 연구과제(problem), 즉 학습객체의 구조화, 관계화, '지식의 정보화'와 '정보의 지식화', '프랙티스의 프로세스화'라는 세 가지 범주로 대별하여 학습객체를 통해 학습활동을 하는 학습주체의 지식창출과정을 비판적으로 논의한다. 지식경영과 eLearning의 통합전략(strategy)을 학습객체(Learning Object)라는 지식 편집 및 가공방식에 비추어 개념(槪念)적 모형과 이상적인 모습에 비추어 제시하고, 학습객체 방식을 활용하여 지식경영과 eLearning을 통합시키려는 근본적인 한계와 결점을 제시한다.
I. 문제의식의 출발: 디지털과 지식의 잘 못된 만남?
II. 통합이전: 객체들의 반란이전
1. 지식경영의 본질과 지식경영에 대한 오해
2. 디지털 시대의 도래와 eLearning의 부각
III. 통합: 객체들의 반란 처음 과 그 한계-지식경영과 eLearning의 통합방법과 한계
1. 학습객체 개념(槪念)의 부각과 통합론 대두
2. 지식경영과 eLearning의 통합원리와 전략(strategy)
3. 통합의 한계와 학습주체의 주도적인 학습활동의 중요성
IV. 통합 이후: 객체들의 반란이 남긴 흔적과 비판적 문제제기
1. 학습객체의 구조화, 관계화: 지식객체의 전체화, 주체화 문제
2. '지식의 정보화'와 '정보의 지식화':
학습객체의 의미화, 맥락화의 문제
3. 프랙티스의 프로세스화: 프로세스를 통한 명시지의 창출
및 공유와 프랙티스를 통한 암묵지의 창출 및 공유
아날로그 사회가 디지털 사회로 변화되면서 일상생활은 물론 교육의 형태와 방식측면에서 획기적인 전환기를 맞고 있다 아날로그 사회에서 디지털 사회로의 변화는 특히 학습무대와 학습방식을 바꾸어 놓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여기서 창출되는 지식의 본질에 대상으로하여도 근본적인 재고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과 지식이 결부되면서 빛의 속도로 지식이 창출되고 공유될 수 있다는 착각과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도입되고 있는 지식경영과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필요한 지식을 적기에 습득할 수 있다는 이상적인 비전을 제시해주고 있는 eLearning에 대한 관심과 실천방법에 대한 다각적인 대안모색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궁극적으로 지식경영과 eLearning을 본질적인 목적에 비추어 양자가 통합되어야 하는 필연적인 당위성과 통합전략(strategy)과 원리, 그리고 통합됨으로서 가져올 수 있는 한계를 논의하기 위해 디지털 시대와 함께 인구에 회자되고 있는 정보와 학습, 그리고 학습을 통한 지식창출과정에 대한 성찰적 문제제기를 시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