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vote.com 보고서 - 생명 존중과 현실 문제 > kimvote3 | kimvote.com report

보고서 - 생명 존중과 현실 문제 > kimvote3

본문 바로가기

kimvote3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보고서 - 생명 존중과 현실 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5-27 05:45

본문




Download : 레포트 - 생명 존중과 현실 문제.hwp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대상에 대해 정확하게 파악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철학자들은 그 ‘앎(知)’의 활동을 좀더 구체화시키며 궁극적인 대상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실천적인 삶으로 연결시키려고 했다. 그런데 전통 유학에서 ‘知’의 중요한 대상은 선험적인 ‘도덕 의식’이고, 이 선험적인 ‘도덕 의식’은 행함의 근거가 될 뿐만 아니라 행함의 방향을 제시하는 기준으로 여겨졌다.

리포트 - 생명 존중과 현실 문제

순서

인간의 행위를 말할 때에 ‘배움과 앎’의 태도를 갖춘 경우와 그렇지 않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 유가 쪽에서는 도가의 입장과는 달리 전자(前者)를 중시한다.” 【論語】季氏 : 孔子曰 生而知之者 上也 學而知之者 次也 困而學者 又其次也 困而不學 民其斤爲下矣

설명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Download : 레포트 - 생명 존중과 현실 문제.hwp( 95 )



즉 전통 유학자들은 앎의 형성에 대해 현상적인 앎을 의미하는 ‘견문지(見聞知)’와 본질적인 앎을 의미하는 ‘사려지(思慮知)’와 도덕 내용을 의미하는 ‘덕성지(德性知)’ 등이 갖추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했다. 그러나 더 근원적인 것은 우리가 본질적인 대상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가에 대한 검토다. 특히 전통 유학에서 ‘앎(知)’의 내용은 ‘앎(知)’ 자체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선험적인 ‘도덕의식’으로서 ‘행함(行)’과 관계되고 행함의 방향을 설정하는 근거와 기준이 되기도 하였다. 특히 유교에서는 본질적인 대상을 도덕으로 규정한다. 이런 사실은 공자의 말에서 확인된다.
보고서 - 생명 존중과 현실 문제
.



전통철학에서 말하는 앎이란 대상을 파악하는 주관의 행동을 의미함과 동시에 대상을 파악한 앎이 참된 것인지를 다시 분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유가의 입장에 따르면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내면에 도덕성이 갖추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이 도덕성을 알 수 있기 때문에 현실에서도 도덕적인 생활이 기준이 되어야 한다.
.
보고서 - 생명 존중과 현실 문제
보고서 - 생명 존중과 현실 문제
하였고 또 “인을 좋아하나 배우지 않으면 그 가리워져서 우둔하고, 지를 좋아하나 배우지 않으면 그 가리워져서 방탕하다. 중국(中國) 전통 철학에서 ‘知’가 ‘行’과 관계되어 나타난 초기의 문헌은 “非知之艱 行之惟艱”(󰡔書傳, 商書 「說明中」󰡕, 保景文化社, 1987, 194쪽)과 “非知之實難 將在行之”(󰡔春秋左傳詁, 「昭公十年」󰡕 下, 中華書局, 1991, 693쪽)이다. 학자들은 이 세 앎의 형태 가운데 학자에 따라 하나나 둘 혹은 셋의 관점을 취하는데, 특히 견문지를 중시하는 사람들은 대상에 대한 감각 활동을 통해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면을 인식하고, 사려지를 중시하는 사람들은 이성적인 역할을 통해 법칙을 인식하며, 덕성지를 중시하는 사람들은 형이상학적이고 선험적인 도덕 세계를 궁극적이고도 근원적인 세계로 생각한다. 전통철학은 대체적으로 본질적인 대상을 인간이 파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처럼 공자는 앎의 정도로서 상하의 차등론을 말하기도 하면
결국 ‘앎(知)’의 사전적 의미는 대상을 파악하기 위한 주관의 활동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論語】陽貨 : 子曰......好人不好學 其蔽也 愚 好知不好學 其蔽也 蕩

레포트 - 생명 존중과 현실 문제

보고서 - 생명 존중과 현실 문제


레포트 - 생명 존중과 현실 문제-9271_01_.jpg 레포트 - 생명 존중과 현실 문제-9271_02_.jpg 레포트 - 생명 존중과 현실 문제-9271_03_.jpg 레포트 - 생명 존중과 현실 문제-9271_04_.jpg 레포트 - 생명 존중과 현실 문제-9271_05_.jpg
보고서 - 생명 존중과 현실 문제



레포트 - 생명 존중과 현실 문제 레포트 - 생명 존중과 현실 문제 레포트 - 생명 존중과 현실 문제 레포트 - 생명 존중과 현실 문제
다. “나면서 아는 자는 상이요, 배워서 아는 자는 다음이고, 곤궁해도 배우는 자는 그 다음이며, 곤궁한데도 배우지 않으면 민(民)으로서 이에 하(下)가 된다.
.

고 하였다.
Total 25,981건 1449 페이지

검색

REPORT 73(sv75)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kimvote.com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kimvote.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