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학행정] 민법총칙 시험대비 총정리(整理) / 민법총칙 시험대비 총정리(整理) 1. 민법의 의의 1.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1-23 02:20
본문
Download : 민법총칙 시험대비 총정리.hwp
즉 사회의 법적 확신을 획득하였을 때 성립한다. 즉 법원성은 부정된다 - 법원 조직법에 의하면 “상급법원에서의 판단은 당해 사건에 관하여 하급심을 구속한다”라고 하여 사실상의 구속력이 있으며 실제로 많...
순서
법학행정 민법총칙 시험대비 총정리 / 민법총칙 시험대비 총정리 1. 민법의 의의 1.
다.
설명
[법학행정] 민법총칙 시험대비 총정리(整理) / 민법총칙 시험대비 총정리(整理) 1. 민법의 의의 1.
민법총칙 시험대비 총정리 1. 민법의 의의 1.민법은 사법이다. 즉 사...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Download : 민법총칙 시험대비 총정리.hwp( 77 )
민법총칙 시험대비 총요점 . 민법의 의의 .민법은 사법이다. 즉 사...





민법총칙 시험대비 총정리(整理) 1. 민법의 의의 1.민법은 사법이다. - 관습법은 1)관행이 존재하고 2)관행이 공서양속에 반하지 않으며 3)관행이 법적 확신에 의하여 지지되어야 한다 - 관습법의 효력 1)보충적 효력설 성문법에 대하여 보충적 효력을 갖는다고 하며 通說이다 2)변경적 효력설 성문법을 개폐하는 효력을 갖는다는 주장으로 少數說의 입장이다 나. 판례 - 대륙법계 국가들에서 상급 법원의 판례가 하급법원을 법률상 구속하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다. 실체법상의 권리 의무 실현 절차를 정한 것은 절차법으로 민사소송법 등이다. . 민법의 법원 .실질적 의의에 있어서의 민법의 존재형식을 말하며 대부분 성문법으로 구성된다.성문법과 불문법(관습법, 판례, 조리)으로 나눌 수 있다 민법 제1조는 “민사에 관하여 법률에 규정이 없으면 관습법에 의하고 관습법이 없으면 조리에 의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성문 민법 - 형식적 의의의 민법이며 우리 민법전은 독일식 편별법에 따라 1.총칙 2.물권 3.채권 4.친족 5.상속 및 부칙편으로 구성하고 있다 .불문 민법 가. 관습법 - 관습법이란 자연 발생한 관습이 사회의 법적 확신 내지 인식에 의해 법규범으로 승인되어 지켜지고 있는 규범을 말한다. 형식적 의의의 민법이란 민법전 (법률 471호, 1960년 1월 1일 시행법)을 의미한다. 즉 사인간의 관계를 규율하는 법이요 일반 사법이다.민법은 권리의무에 관하여 정한 실체법이다. .실질적 의의의 민법이란 개인의 사법적 법률관계를 규율하는 원칙적인 법을 말한다 여기에는 민법부속법령, 민사특별법령 및 관습법(불문법)이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