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홉스테드의 문화차원모형] 개인주의 대 집단주의, 남성상 대 여성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2-06 03:09
본문
Download : [홉스테드의 문화차원모형] 개인주의.hwp
이에 비해 집단주의(collectivism)는 개인이 특정집단에 소속 및 통합되어 이들 집단에 무조건 충성하는 대가로 보호를 받는 사회를 말하며, 자신이 속한 집단과 다른 집단을 명백하게 구별하여 差別적으로 대우하는 것이 정당하다고 생각한다. 개인주의 사회는 개인적인 양심에서 나오는 죄책감(guilt)을 통해서 사람들을 통제하려고 하는 반면, 집단주의 사회는 집단적인 의무감에서 나오는 수치감(shame)을 통해서 사람들을 통제하려고 한다.
[홉스테드의 문화차원모형] 개인주의 대 집단주의, 남성상 대 여성상
![[홉스테드의 문화차원모형] 개인주의-9043_01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9/%5B%ED%99%89%EC%8A%A4%ED%85%8C%EB%93%9C%EC%9D%98%20%EB%AC%B8%ED%99%94%EC%B0%A8%EC%9B%90%EB%AA%A8%ED%98%95%5D%20%EA%B0%9C%EC%9D%B8%EC%A3%BC%EC%9D%98-9043_01_.jpg)
![[홉스테드의 문화차원모형] 개인주의-9043_02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9/%5B%ED%99%89%EC%8A%A4%ED%85%8C%EB%93%9C%EC%9D%98%20%EB%AC%B8%ED%99%94%EC%B0%A8%EC%9B%90%EB%AA%A8%ED%98%95%5D%20%EA%B0%9C%EC%9D%B8%EC%A3%BC%EC%9D%98-9043_02_.jpg)
개념정의,특징특성,종류유형
자료제목 : [홉스테드의 문화차원모형] 개인주의 대 집단주의, 남성상 대 여성상 [홉스테드의 문화차원모형] 개인주의 대 집단주의, 남성상 대 여성상에 대한 레포트 자료입니다. 반면에 보편주의가 자리 잡고 있는 개인주의 사회에서는 일이 인간관계보다 우선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아
설명
[홉스테드의 文化(문화)차원모형] 개인주의 대 집단주의, 남성상 대 여성상
[홉스테드의 文化(문화)차원모형] 개인주의 대 집단주의, 남성상 대 여성상의 주요 내용을 요약 및 정리(arrangement)한 레포트(report) 자료(data)입니다. <[홉스테드의 문화차원모형] 개인주의 대 집단주의, 남성상 대 여성상> 작성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개인주의(individualism)는 개인의 성취와자유가 높게 평가받기 때문에 개인 간의 구속력이 느슨한 사회를 말하며, 집단의 이익보다는 개인의 이익을 우선한다. 집단주의 사회에서는 체면을 중시하는 반면 개인주의 사회는 자존심을 중시한다. 즉, 개인보다는 가족이나 직장 등의 집단을 우선적으로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회로서 개인으로 존재하기보다는 항상 자신을 집단의 일부로 생각한다. 수치감은 본질적으로 사회적이며, 죄책감은 개인적이다.
개인주의 사회는 모든 사람을 똑같이 대우해야 한다는 규범 즉 보편주의가 있기 때문에 한 고객을 다른 고객들보다 우대하는 것은 옳지 못한 비윤리적인 사업관행으로 간주된다된다.
Download : [홉스테드의 문화차원모형] 개인주의.hwp( 50 )
I. 개인주의 대 집단주의
[홉스테드의 문화차원모형] 개인주의 대 집단주의, 남성상 대 여성상에 대한 report 자료(資料)입니다.
자료(data)명 : [홉스테드의 文化(문화)차원모형] 개인주의 대 집단주의, 남성상 대 여성상
순서
개인주의 사회에서 고용주와 피고용주사이의 관계는 노동시장에서의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계산적인 교환관계로서 파악된다된다. 수치감을 느끼고 안 느끼고는 비행사실을 남이 알고 있느냐의 여부에 달려있는 반면 죄책감은 남이 알고 있는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내부양심에 따라 느낀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홉스테드의 문화차원모형] 개인주의 대 집단주의, 남성상 대 여성상> 작성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다. 반면에 집단주의 사회는 직장자체가 하나의 내집단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고용주와 피고용주 사이의 관계는 계약이 아닌 가족관계로 본다. 종업원이 회사에 충성을 하는 대가로 회사는 종업원을 보호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결국 인간관계가 일보다 우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이하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러한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 때문에 종업원이 일을 잘못했다고 해서 곧바로 해고당하지 않으며, 큰 잘못이 없는 한 종신고용을 유지
자료(資料)タイトル(제목) : [홉스테드의 문화차원모형] 개인주의 대 집단주의, 남성상 대 여성상
[홉스테드의 文化(문화)차원모형] 개인주의 대 집단주의, 남성상 대 여성상 key point(핵심) 내용만을 간략하게 요점/정리(arrangement)하였습니다. 이에 비해 집단주의 사회는 내집단과 외집단을 구분하고 내집단의 고객을 더 잘 대우해 주는 것이 자연스럽고 올바른 사업관행 즉, 특수주의가 자리 잡고 있다아 따라서 집단주의 사회에서는 신뢰관계를 통해 외부인이 내집단 성원으로 받아들여지고 우대를 받아야 사업을 처음 할 수 있게 된다된다. 즉, 종업원이 일을 잘못하거나 혹은 다른 직장에서 더 많은 임금을 준다면 양자 간의 고용계약관계를 끝내는 것이 사회적으로 정당하게 용인되는 사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