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작품론 - 여음의 관념, 특성(特性), 기원과 정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7-24 01:12
본문
Download : 시가작품론 - 여음의 개념, 특성,.hwp
한국시가에 중요한 형태적 특징의 하나로 여음이란 것이 있따 이는 특히 민요나 민요계통의 시가에 더욱 두드러진다.」 정동화 : ‘여음고’ 김형규 교수 정년 퇴임기념 논문집 p.436.
Ⅱ. 본론
.
순서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Download : 시가작품론 - 여음의 개념, 특성,.hwp( 43 )
시가작품론 - 여음의 관념, 특성(特性), 기원과 정착
여음은 학자에 따라서 그 명칭을 여러 가지로 사용하고 있따 즉 ‘여음’ ‘조흥구’ ‘입타령’ 구호‘ 등으로 그 칭호도 다양하게 부르고 있따 정동화님은 그 혼돈을 피하자는 주장으로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한 바 있따
시가작품론 - 여음의 관념, 특성(特性), 기원과 정착
.
시가작품론 - 여음의 개념, 특성, 기원과 정착
시가작품론 - 여음의 관념, 특성(特性), 기원과 정착
다. 여음은 후렴, 구호 또는 입타령이라고 한다. 따라서 필자는 음절 및 명확성을 고려하여 여음을 학술용어로 동일하게 부를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그렇지만 지금에 와서는 어느 정도 통칭된 용어인 여음이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열자, 적벽부, 후한서, 어부사시사후미 등에서이다. 물론 후렴이라고 할 때는 위치에 따라서 뒤에 붙는 경우일 것이나 대체로 여음이 뒤에 온다는 점에서 그렇게 부르기도 하는 것이다. 적벽부 : 「흥과 멋을 돋우거나, 음율을 고루어 음악적 效果를 거두기 위하여 사용된 무의미한 사
열자 : 「시가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되풀이되어 나타나는 음성이나 말로서 없어도 시상은 성립될 수 있는 것들을 여음이라 하고, 특히 행이나 연이 끝날 때마다 나타나는 여음을 후렴이라 한다.





시가작품론 - 여음의 관념, 특성(特性), 기원과 정착
.
설명
1. 여음의 개념
시가작품론 - 여음의 개념, 특성, 기원과 정착
「여음의 동의어로 後斂을 들 수가 있겠으나 이는 ‘斂」’에 위치 표시인 後를 첨가한 것으로 결국 동의어는 斂(念이라고도 함)이라 하겠다.」 국어국문학사전 : 서울대학교 도웁ㄱculture연구소편(1974. 3. 10) p.423.
시가에서의 여음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되풀이되어 나타나는 음성이나 말로서, 본사에는 없어도 시상은 성립될 수 있는 것들을 여음이라 하고 특히 행이나 끝날 때에 나타나는 여음을 후렴이라고 한다. 여음은 어떤 물체나 악기를 울려 처음 나오는 소리 이외 그 소리가 점점 가늘고 작게 나는 뒤의 소리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고, 주제에 따라 노래를 부른 뒤 미처 다 부르지 못한 노래를 위에 덧붙여 부르는 소리를 말하는 경우도 있따
시가작품론 - 여음의 개념, 특성, 기원과 정착 시가작품론 - 여음의 개념, 특성, 기원과 정착 시가작품론 - 여음의 개념, 특성, 기원과 정착
여음은 옛날의 문헌에 그 용례가 더러 보인다. 즉 다시 말해서 글자의 의미에서는 남은 소리의 개념에서 연상되는 후렴과 흥을 돋우거나 운율을 고루어 음악적 效果를 얻거나, 본사의 내용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된 무의미한 사설, 혹은 감탄적 사설을 가리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