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2-21 16:32
본문
Download :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hwp
고대시가론_만전춘별사 ,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기타레포트 ,
순서
Download :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hwp( 80 )
고대시가인 만전춘별사의 구조analysis(분석) 과 함께 조사한 data(자료)입니다.
5연으로 나누려는 주장은 대개 「만전춘별사」의 제 6연이 1행으로 되어 있어서 다른 연과의 형평을 고려할 때 1행 = 1연이라 하기에는 뭔가 미흡하다는 전제가 작용한 것으로 볼 수 있따 한편 6연으로 분단된 이 작품을 시조와 같은 3장 형태로 묶으려는 견해도 있따 성현경, 「만전춘별사의 구조」, 375~376쪽. 이러한 3장 분단은 시상 전개나 시제에 대한 충분한 고려없이 전 6연을 2연 1장으로 묶어 파악하려는 데에서 파생된 문제로 볼 수 있따
그러나 「만전춘별사」는 『악장가사』에서 6단위로 분단되어 있으며, 장사훈은「만전춘별사」의 각 연이 시행의 장단에 관계없이 각각 독립된 가치를 지닌다고 하였다.
설명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기타,레포트
1. 문제제기
2.「만전춘별사」의 題名에 대하여
3. 「만전춘별사」의 구조 分析(분석)
3.1. 6연 분단
「만전춘별사」는 『악장가사』에서 6단으로 수록되어 있따 그런데 연구자들의 편의에 맞춰 이를 5연으로 분단하거나, 때로는 4연으로 나누어 分析(분석)하기도 하였다. 즉 하나의 작품을 구성하는 요소…(省略)
고대시가론_만전춘별사
레포트/기타
다.
고대시가인 만전춘별사의 구조분석과 함께 조사한 자료입니다. 조윤제, 전규태, 박병채 등은 전 5장으로, 김사엽은 전 4연으로 나누어 파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