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Engineering experiment(실험) - 공기조화(온도, 습도 조절) experiment(실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5-28 12:49본문
Download : 기초 공학 실험 - 공기조화(온도, 습도 조절) 실험.hwp
물의 증발잠열(latent heat)이 공기에서 전달되기 때문이다 채널이 충분히 길다면 …(drop)
기초 공학 실험 - 공기조화(온도, 습도 조절) 실험 , 기초 공학 실험 - 공기조화(온도, 습도 조절) 실험기타실험결과 , 기초 공학 실험 공기조화 온도 습도 조절 실험
기초 Engineering experiment(실험) - 공기조화(온도, 습도 조절) experiment(실험)
순서
다. 같은 습도인데, 여름철과 겨울철에 선호습도가 다른 이유는 온도가 높은 공기에서 공기가 가질 수 있는 수증기 량이 더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계산적으로 같은 습도라도 여름철 공기가 겨울철보다 수증기를 많이 가지고 있어 인간이 느끼기에는 다른 습도가 된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다음은 어떻게 해서, 얼마나, 무엇을 조절할 것이냐가 화두인데, 이번 實驗(실험)에서는 공기조화 實驗(실험) 장치를 사용하여 흐르는 공기에 열과 습도를 가하여 이에 따른 공기의 성질을 측정(measurement)하고 결과적으로 습도를 조절(Control)하는 인자가 무엇인지 알아본다. 상대습도를 결정하는 한 가지 방법은 앞 절에서 설명(說明)한 대로 공기의 이슬점 온도를 결정하는 것이다. 한마디로 실내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만드는 작업인데, 이는 흔히 냉방장치를 이용한다.
실험결과/기타
Download : 기초 공학 실험 - 공기조화(온도, 습도 조절) 실험.hwp( 59 )
기초,공학,실험,공기조화,온도,습도,조절,실험,기타,실험결과
설명
기초 Engineering experiment(실험) - 공기조화(온도, 습도 조절) experiment(실험)
%20%EC%8B%A4%ED%97%98_hwp_01.gif)
%20%EC%8B%A4%ED%97%98_hwp_02.gif)
%20%EC%8B%A4%ED%97%98_hwp_03.gif)
%20%EC%8B%A4%ED%97%98_hwp_04.gif)
%20%EC%8B%A4%ED%97%98_hwp_05.gif)
1.개요
공기조화(Air Conditioning)란 적절한 작업 및 생활environment을 조성하기 위해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과정이다. 공기가 물위를 통과하면 물의 일부가 증발하여 공기와 혼합된다 이 과정이 진행되면 공기 중 수분의 양은 증가하고, 공기의 온도는 낮아질 것이다.
2. theory(이론)적 배경
상대습도와 비습도는 工學(공학) 과 대기 과학에서 자주 이용된다 따라서 이들을 온도와 같이 쉽게 측정(measurement)할 수 있는 양과 관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간의 감각에 의한 것으로 미묘하기는 하나 여름철에는 외기와 기온차가 5~6℃ 정도이고, 실내온도 25~29℃, 습도 60~70%, 겨울철에는 실내온도 18~21℃, 습도 55~70% 정도가 좋다고 한다. 이슬점 온도를 알면 증기압 Pv 및 상대습도를 결정할 수 있다아 절대 또는 상대습도를 결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그림 2. 에 표시된 것과 같은 단열 포화 과정과 관련이 있다아
이 계는 길이가 길고 단열된 채널에 물이 저장되어 있다아 값을 모르는 습도비 ω1와 온도 T1인 포화되지 않은 공기가 정상유동으로 채널을 통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