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D제어실습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7 17:58본문
Download : LED제어실습.hwp
- 사용자가 definition 한 함수를 구현하시오의 부분에 위의…(생략(省略))






다.
Download : LED제어실습.hwp( 38 )
순서
LED제어실습에 대한 자료입니다. 일반적으로 ”write Register`로서는 74LS373, 74LS374, 74LS574등이 많이 사용되는데, 74373은 8비트 래치이고, 74374와 74574는 8비트 D-플립플롭이다. 74LS574나 74LS374의 8비트 플립플롭은 OC가“L`이고, CLK가 ”L`에서 “H`로 변하는 순간에 8비트 입력 데이터(D0~D7)이 8비트 출력 데이터(Q0~Q7)로 전달된다 그러므로 CPU의 정확한 write 동작에는 8비트 플립플롭이 적합하므로 74LS374나 74LS574가 일반적으로 ”write Register`로서 많이 사용된다
2개의 74LS374가 16비트 write레지스터로 사용되었고, 16개의 LED의 캐소드(Cathode)단이 74LS374의 출력에 각각 연결되므로 CPU가 데이터 버스에“L`을 쓰고, LED 어드레스를 출력할 때, 해당 비트의 LED에는 불이 켜진다.
② Ajin Viual Kit의 실행단계
- 파일 밑의 새프로젝트를 선택하여 프로젝트명(son)을 기입한다.
1) LED 제어의 실습
------실습단계------------------------------------------------------
① D 드라이버에 자신의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방을 만든다. D-플립플롭은 입력 클럭의 에지(edge)에서만 출력이 변화하는 것에 대하여, 래치의 경우는 게이트가 열려 있는 동안에는 입력의 변화에 따라서 출력도 변화하며, 게이트가 닫히기 직전의 상태가 출력에 고정되어 기억된다 OC가“L`이고 G가 ”H`상태 동안에는 입력이 바뀌면 출력도 따라서 바뀐다. LED제어실습 , LED제어실습공학기술레포트 ,
레포트/공학기술
설명
LED제어실습
LED제어실습
,공학기술,레포트
[1]LED제어의 설명(說明)
68000 CPU는 16비트의 데이터 버스를 갖고 있으므로, 동시에 16개의 LED를 제어할수 있따 8비트 데이터를 CPU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8개의 D-플립프롭이 필요하고, 8개의 플립플롭이 내장된 칩을 “I/O Write Register`로서 사용한다.LED제어실습에 대한 자료(資料)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