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roll의 학교학습모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30 08:11
본문
Download : Carroll의 학교학습모형.hwp
”라는 명제를 내리고, 학습 성취정도(degree of learning)는 학습에 소요된 시간을 학습에 필요한 시간으로 나눈 결과로 표시하여 주목을 끌었다. 따라서 학습자의 特性(특성)별로 최적의 수업 방법이나 교수・학습 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학습 효과(效果)와 관련 있는 학습자의 特性(특성)이 무엇인지를 밝혀야 한다. 이것은 미국의 Bloom의 『완전학습(learning for mastery)』과 Carroll의 『학교학습모형(a model of school learning)』이라는 저서에서 연구된 것이다.
따라서 Carroll은 학습자들의 개인차를 고려한 수업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다양한 特性(특성)에 알맞은 다양한 방법을 구안하여 학습자의 독특한 特性(특성)에 집합시켜 주어야 한다.
Carroll은 완전학습을 위한 학교 수업 모형에서 학습자의 학습 성취 정도는 …(생략(省略))






설명
다. Carroll의학교학습모형 , Carroll의 학교학습모형사범교육레포트 ,
Carroll의 학교학습모형에 관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Download : Carroll의 학교학습모형.hwp( 50 )
,사범교육,레포트
레포트/사범교육
Carroll의 학교학습모형
순서
Carroll의학교학습모형
Carroll의 학교학습모형에 관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Ⅰ. 들어가는 말
Ⅱ. Carroll의 생애 및 업적
Ⅲ. Carroll의 학교학습모형
1) 학습에 필요한 시간
(1) 적성(aptitude)
(2) 수업이해력(ability to understand instruction)
(3) 수업의 질(quality od instruction)
2) 학습에 소비한 시간
(1) 학습기회(opportunities to learn)
(2) 학습지속력(perseverance)
3) 완전한 모형
Ⅲ. Carroll의 학교학습모형의 적용
Ⅳ. Carroll의 학교학습모형의 시사점
Ⅴ. 맺는말
1950년대에 치열해진 과학경쟁은 개인 능력의 최대 개발이라는 교육의 지상 목표(goal)를 세우게 되었고, 이에 대한 절박하고 깊은 연구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지적 수준을 가능한대로 높이 올리는 것이 교육의 새로운 움직임이 되었기 때문일것이다 학교 수업의 核心(핵심)은 지적 학습 영역이고 학습자의 지적 수준을 높이자는 것이 완전학습의 동기가 되었다. Carroll의 학교학습모형에서는 “학습자는 제시된 project를 학습하는 소요시간이 얼마나 걸리느냐의 정도에 따라서 학습이 성공한다.
완전학습의 논리적 연구도 이와 같은 조류 속에서 나오게 된 것이다.
그 동안 사회적인 여건의 變化(변화)와 막중해진 교육의 책임을 진보주의 교육으로서는 감당할 수 없게 된 것은 사실이다. 그 동안 학교 수업이 얼마나 철저하지 못하고, 형식에만 그친 교육이었느냐 하는 것은 이러한 연구가 나왔다는 사실 하나로도 짐작이 가능하다. 교재에 있어서는 Bruner의 교재 구조화 및 현대화가 제기되었고, 서독에 범예(範例) 방식에 의한 교재의 선정 문제가 논의되었으며, 방법론에 있어서도 호로그램학습 등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