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조 궁중의례의 다례의식-순조때의 궁중다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9 14:17
본문
Download : 조선조 궁중의례의 다례의식-순조때의 궁중다례.hwp
up조선조궁중의례의다례의식 , 조선조 궁중의례의 다례의식-순조때의 궁중다례생활전문레포트 ,
,생활전문,레포트






조선조 궁중의례의 다례의식-순조때의 궁중다례에 관한 자료(data) 입니다.
조선시대 신흥 사대부들은 “유교적 이념에 의한 새로운 국가의 건설”이라는 대의명분에 따라 송, 명조에서 사용되던 국가의례를 도입하여 적용하기 처음 하였으며 사대부와 민간생활 전반에 주자가례가 의식의 전면으로 등장 했다.
조선조 궁중에서 차와 관련되어 치루어 지던 의식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가 있따
첫째는, 차(茶)를 상용하지 않던 관습에 따라 차를 생활화하던 국가들의 사신들을 맞이하는 외교 의례에서 정식으로 사용하던 경우로 china의 사신을 맞이할 때인 연조정사의에서 거행되던 다례(茶禮)와 인국 사신들로부터 서폐나 사신을 맞이할 때 행하던 다례를 꼽을 수 있따
둘째는, 궁중의식에서 차를 사용 하던 각종 진찬(進饌)연이나 사부빈객 상견의나 시학의 등의 경우이며
셋째는, 각종 상제례에서 차를 올리는 경우, 빈소의 상식을 차와 함께 올리는 경우, 진전이나 선원전등에 차를 올리는 경우, 가례에서 술 대신 차를 사용 하는 경우, 특별히 금주령을 내려 술 대신 차를 사용토록 윤음을 내리는 경우 등이다.
1. 다도와 다례의 定義(정의)
`차(茶)`란 차나무의 잎을 뜻하며 순수 우리 말로는 `차` 나 `다`라고도 부른다. 차 文化는 이 茶를 매개로 이루어지는 文化를 의미한다 전…(省略)
조선조 궁중의례의 다례의식-순조때의 궁중다례에 관한 자료 입니다.
조선조 궁중의례의 다례의식-순조때의 궁중다례
Download : 조선조 궁중의례의 다례의식-순조때의 궁중다례.hwp( 34 )
다. 본 논문에서는 주로 차를 사용하던 의식을 실록이나 오례의 등에 나타나는 원전을 중심으로 살펴 보고자 한다.
순서
up조선조궁중의례의다례의식
레포트/생활전문
설명
서 론
1. 다도와 다례의 定義(정의)
2. 우리나라 궁중에서의 다례
1) 고려시대
2) 조선시대
3. 궁중다례의 거행
1) 순조시기의 궁중다례의 거행
2) 궁중다례를 행하는 순서
(1) 외국 사신을 맞이할 때의 다례
(2) 순조가 자경전에서 내진찬을 받는 의식에서의 다례
(3) 시학(視學)작헌문선왕의를 거행할 때 다례
(4) 작헌례와 다례 (진전, 선원전에서 다례를 행하는 의식)
conclusion
참고한 문헌
서 론
여말 성리학의 전래와 신흥사대부들에 의한 새로운 국가의 건설은 다례 부분에 잇어서도 많은 alteration(변화) 를 가져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차 자체에 대한 기호성을 인정 하였다기보다는 차를 중시 여기던 국가에 대한 의전 차원에서나 숙수(熟水)에 대한 상호 定義(정의) 등으로 적용되었고 일반적인 차(茶)류 또한 인삼차 등이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불교를 숭상한 고려조에서 각종 의식과 궁중의 생활, 민간 생활에서 차가 숭상되었을 것으로 보는 것은 큰 무리가 아닐 것이다. 사전적 의미로는 `명사`이므로 차 잎 아닌 다른 식물의 잎을 `차(茶)`라고 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