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국제협력의 동향분석 및 향후 추진전략(戰略) 에 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5 11:20
본문
Download : 과학기술 국제협력의 현황분석 및 향후 추진전략에 관한 고찰.hwp
설명
,기타,레포트
과학기술국제협력의동향분석및향후추진전략(戰略) 에관한고찰
과학기술 국제협력의 동향분석 및 향후 추진전략(戰略) 에 관한 고찰
다.
국제협력의 현황분석 및 향후 추진전략에 관한 고찰을 하고 정부간 협정체결 현황과 정부차원의 협력 개관에 대해 자세히 작성한 글입니다.과학기술국제협력의현황분석및향후추진전략에관한고찰 , 과학기술 국제협력의 현황분석 및 향후 추진전략에 관한 고찰기타레포트 ,
순서
Download : 과학기술 국제협력의 현황분석 및 향후 추진전략에 관한 고찰.hwp( 70 )






레포트/기타
○`85년 과학기술부에서 국제공동연구사업을 착수한 이래 `90년대에 산업자원부 및 정보통신부에서 국제공동연구사업을 신규로 착수하여 국제공동연구가 본격화되었음.
- 기관별 `98년의 예산을 살펴보면 과학기술부 83억 원, 정보통신부 120억 원, 산업자원부 40억 원 등임.
○ 과학기술부가 기초 및 응용기술분야를 공동연구 대상으로 하는 반면 정보통신부 및 산업자원부는 상업기술을 주요 공동연구 대상으로 하고 있음.
○ 과학기술부의 특정연구사업, 정보통신부의 정보통신기술개발사업, 산업자원부의 공업기반기술개발사업 및 대체에너지기술개발사업 등 모든 government 지원 연구개발사업의 일반공모사업 중에서도 일부 연구분야를 외국에 위탁하는 경우가 많이 있음.
< 과학기술부의 국제공동연구개발사업>
○ 과학기술부는 원자력발전기금으로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을 지원하고 있는데, 이 사업 내에 국제협력사업비를 따로 배정하여 지원하고 있음(304억, 2.5%)
○ 과학기술부의 경우 1997년부터는 국제협력에 관한 모든 사업들을 묶어 특정연구개발사업 내에 과학기술세계화사업을 만들었음.
○특정연구비 중에서 세계화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미미하여 1997년에는 5.9%, 1998년에는 약간 늘어난 6.4%가 지원됨.
○국제공동연구사업의 경우 `85년부터 `97년까지 日本(일본)(25%), 러시아(18%), 미국(18%), 독일(13%) 등 기술선진국을 중심으로 총 906개 과제(problem)에 대하여 538억원을 지원한 바 있음.
<산업자원부의 국제공동연구개발사업>
○ 산업자원부는 크게 두 가지의 연구개발 program을 가지고 있음
- 연구비규모로 볼 때 가장 큰 것으로 공업기반기술개발(공기반) 사업
- 한국전력(주) 등의 출연기금으로 구성된 대체에너지기술개발사업.
○ 현재 국제공동연구개발사업을 위하여 재원을 따로 확보하는 program은 공기반사업 뿐이고 대체에너지기술개발사업 내에서는 국제공동연구사업을 따로 분류하여 지원하고 있지는 않으나, 개별 과제(problem)별…(생략(省略))
국제협력의 동향분석 및 향후 추진전략(戰略) 에 관한 고찰을 하고 政府간 협정체결 동향과 政府차원의 협력 개관에 대해 자세히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