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과기술] 흙의 일축압축시험 / 일축압축시험 (KS F 2314) 1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6-16 10:59
본문
Download : 흙의 일축압축시험.hwp
흙의 일축압축강도랑 측압을 받지 않은 공시체의 최대압축응력을 말하며, 예민비란 흐트러지지 않은 흙의 일축압축강도와 함수량을 변화시킴이 없이 다시 이겨 성형한 흙의 일축압축강도와의 비를 말한다.





공과기술 흙의 일축압축시험 / 일축압축시험 KS F 2314 1
그러나 비교적 단단한 점토를 제외하고는 파괴면이 명확히 나타나지 않으므로 전단저항각의 측정(測定) 이 어렵다.
순서
일축압축시험 (KS F 2314) 1. 개요 ▶ 이 시험은 흙의 일축압축...
일축압축시험
▶ 시험 중 시료의 교란이 불가피 하므로 실제보다 약간 작은 안전측의 일축압축강도가 구해지며, 특히 대단히 견고한 지반이나 불포화 지반에서는 일축압축강도가 ...
다.
▶ 이 시험은 흙의 일축압축강도 및 예민비를 구하기 위하여 행한다.
▶ 일축압축시험은 점착력이 있는 시료를 원추형 공시체로 만들어 측압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축하중을 가하여 전단 파괴시켜서 시료의 전단 강도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Download : 흙의 일축압축시험.hwp( 76 )
(KS F 2314)
1. 개요
일축압축시험 (KS F 2314) 1. 개요 ▶ 이 시험은 흙의 일축압축...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 비교란시료의 일축압축강도와 같은 함수비로 반죽한 교란시료의 일축압축강도의 비를 예민비라고 한다. 이 시험의 압축방식에는 변형 제어형(strain control type)과 응력 제어형(stress control type)의 두 가지가 있으나, 변형 제어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시험은 실제 현장조건에 완전히 부합되지 않지만, 점성토의 전단강도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구할 수 있으므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 전단강도는 토질 구조물의 안정계산이나 구조물 기초의 지지력 계산에 많이 쓰인다. 물체가 전단 파괴될 때에는 파괴면은 주응력면과 45+ 2의 각도를 이루므로 일축 압축시험을 하여 주응력면과 파괴면의 각도를 측정(測定) 하면 전단저항각을 결정할 수 있다 전단저항각이 이라면 Mohr-Coulomb 파괴포락선은 가로축과 나란한 수평선을 이루고 점착력은 다음과 같다.
설명
2. 일축압축 시험의 기본 원리.
[공과기술] 흙의 일축압축시험 / 일축압축시험 (KS F 2314) 1
일축압축시험은 점성토에서 주로 하는 실험이며, 원리상 비압밀 비배수 삼축압축시험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물이 점토로부터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한다면 구속응력은 이론상 어느 값을 주나 비배수 전단강도는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