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인홀드 니버의 기독교 현실주의의 관점에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10 03:24
본문
Download : 라인홀드 니버의 기독교 현실주의의 관점에서.hwp
그러나 60년대 이후의 산업의 발전과, 자본주의 사회의 물질 만능의 세태 속에서 한국교회는 개교회의 성장, 발전만을 추구했지 소외되고 억압당하는 우리의 이웃들에게 섬기고 나누며 희생하는 사회 봉사적 의미에서의 역할은 소홀히 했던 것이 사실이다. 초대 한국교회는 이러한 예수님의 가르침대로 민족의 등불로서 사회의 구석지고 어두운 부분을 정화시키는 정화제로서 역할을 잘 담당함으로서 오늘의 한국교회를 이루었다. 본 논문은 “급변하는 사회 현실 속에서 교회가 이 사회를 향한 책임을 어떻게 완수 할 수 있을까?” 하는 문제를 라인홀드 니버의 기독교 현실주의와 사랑과 정의(定義)의 관점에서 조망해보고 오늘날의 사회 속에서 교회가 해야할 역할을 찾아보고자 한다. 라인홀드니버의기독교현실주의의관점에서 , 라인홀드 니버의 기독교 현실주의의 관점에서자연과학레포트 ,
레포트/자연과학






라인홀드 니버의 기독교 현실주의의 관점에서
순서
Download : 라인홀드 니버의 기독교 현실주의의 관점에서.hwp( 18 )
라인홀드니버의기독교현실주의의관점에서
다. 이러한 결과로 교회는 사회 봉사의 역할을 다하기보다는 오히려 사회에서 크다란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라인홀드 니버는 미국의 정치 사상사에 크게 영향을 미친 정치 사상가로 그의 이러한 공헌은 주로 그의 …(생략(省略))
라인홀드 니버의 기독교 현실주의의 관점에서 교회의 사회봉사 및 방향, 한국교회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 쓴 글입니다. 또한 그리스도인이 사회봉사의 실천적 삶을 살아가지 못하는 것이 심판의 대상(마 25)이 됨을 강조하여 말씀하여 주고 계신다.
라인홀드 니버의 기독교 현실주의의 관점에서 교회의 사회봉사 및 방향, 한국교회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 쓴 글입니다.
,자연과학,레포트
설명
I. 서론 1
1. 문제 제기와 목적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II. 라인홀드 니버의 기독교 현실주의
1. 인간이해에 관한 세 가지 관점
(1) 고전적 인간 이해
(2) 현대적 인간 이해
(3) 기독교적 인간 이해
2. history(역사) 적 사회 이해
(1) 진보주의
(2) 이상주의
(3) 공산주의
(4) 신앙과 history(역사)
(5) 기독교 현실주의
3. 불가능한 가능성으로서의 사랑
4. 불가능한 가능성으로서의 정의(定義)
5. 사랑과 정의(定義)의 관계
III. 기독교 현실주의적 관점에서 교회 사회 봉사의 가능성과 방향
1. 기독교 현실주의적 관점에서 본 교회의 사회 봉사
(1)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인간으로서 창조력
(2) 불가능한 가능성으로서의 사랑의 실천
2. 교회의 사회 봉사에 대한 방향
(1) 세상 속에 존재하는 교회
(2) 신앙의 통한 변화의 주체로서 교회
IV. 한국 교회의 사회봉사 實態와 책임적 課題
1. 한국 교회 사회 봉사의 history(역사) 적 고찰
2. 한국 교회 사회 봉사의 現況(현황)
(1) 사회 참여 프로그램(program]) 의 實態
(2) 사회 참여의 예산 비율
3. 한국 교회의 사회적 책임의 課題
(1) 치유 활동을 통한 봉사
(2) 복지활동을 통한 봉사
1) 여성 복지
2) youth 복지
3) 노인 복지
4) 장애인 복지
5) 사회 상담을 통한 봉사
(3) 사회 교육운동의 전개
V. conclusion
<참고 문헌>
우리나라에 기독교가 전래 이후로 교회는 병원과 학교를 설립하고 가난하고 고통받는 이들을 위한 봉사 활동에 선구적인 역할을 담당하여 왔다. 예수님께서도 자신이 스스로 모범을 보이면서 교회가 사회를 섬기는 사회 봉사의 실천적 삶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를 가르쳐 주셨다. 교회가 사회를 섬기는 것은 기독교가 전파되도록 하기 위해서만이 아니다. 그것은 사회 봉사에 대한 신학이 완전히 정립되지 않았기 때문이고 일부 보수적인 목회자들의 교회의 사회봉사에 대한 인식이 미흡했기 때문이다 사회가 다원화됨에 따라 사회적 조건도 변하고 평신도 의식도 변하고 있으며 산업화, 도시화되어감에 따라 사회문제는 급증하고 있다아 그러나 교회는 이러한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교회의 사회봉사는 사회에 대한 일련의 자선이 아니라 교회의 삶의 내용이며 사회를 향한 교회의 최선의 신앙의 표현이었다.